
한국전력이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특별법에 따라 ‘1차 장기 배전계획’을 수립해 배포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가 29일 최종 확정한 이번 계획은 지난해부터 향후 5년 간 시행되는 전국 배전망 설치 및 운용에 대한 로드맵으로, 향후 5년간 10조 2,000억원이 투입된다.
주요 내용은 ‘분산에너지 수용에 필요한 망 증설계획’, ‘전력계통 및 배전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망 운영계획’,‘신산업·분산에너지 활성화’ 등 3가지로 요약된다.
위 세 가지 내용을 시행하기 위해 한전은 ▲실태조사를 통한 분산에너지 수용에 필요한 배전망 적기 건설 ▲안정적 전력망 운영을 위한 인프라·협조체계 구축 ▲신규 유입 배전망 활성화를 위한 신기술·제도 개발 등을 추진한다.
세부 계획으로는 ▲실태 조사에 따른 배전망 적기 증설 ▲분산에너지 지능형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한전과 전력거래소 간 전력계통운영 협력체계 강화 ▲제주 시범사업(ESS) 이후 육지로 확대하는 지역 유연성 도입 ▲지역단위 공급 및 수요를 조절하는 K-DSO(Distribution System Operator) 얼라이언스 구축 등을 추진한다.
먼저 한전은 전기위원회와 173개 지자체의 협조를 구해 분산에너지 종류와 규모 등을 조사했다. 한전은 이를 통해 2028년까지 분산에너지와 관련한 발전설비가 44% 증가(2024년말 25.5GW → 2028년말 36.6GW)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이를 통해 한전은 분산에너지 수용을 위한 공용 배전설비와 접속설비를 적기에 구축하기 위해 앞으로 5년간 관련 사업 155건을 통해 255회선(6,476c-km)를 신설하고, 14GW 규모 분산에너지 배전망 접속을 추진한다.
한전은 사업 지역으로 서울을 제외한 경기 연천, 강원 영월, 강릉, 평창, 충북 옥천, 보은, 충남 금산, 태안 전북 김제, 무주, 익산, 전남 고흥, 곡성, 신안, 경북 구미, 김천, 문경, 경남 남해, 거창, 제주 서귀포, 제주 등을 꼽았다.
또한 한전은 2028년까지 분산에너지 인버터 설치 등 분산에너지 지능형 인프라를 11GW까지 확보하고 올해까지 한전과 전력거래소 간 계통정보 실시간 공유, 통합 관제 기반을 마련해 분산에너지 정보공유 시스템을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로드맵을 추진하기 위해 한전이 도입하는 가장 대표적인 제도는 K-DSO 얼라이언스다. 한전이 주관하고 산학연이 참여하는 K-DSO 얼라이언스는 2025년 발족해 1년간 시범 운영된 뒤 내년부터 정식조직이 출범한다.
K-DSO 얼라이언스의 주요 역할은 분산전력망 기술 개발과 관련한 민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전력 분산화 기술 및 정책 개발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