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고 책임자에 대한 처벌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무조정실의 초기 조사 이후, 진상규명은 멈춰섰고 유가족과 시민사회의 반복된 요구에도 국회 국정조사 보고서는 본회의 문턱조차 넘지 못했다”면서 “검찰 수사 또한 최고책임자에 대한 기소는 이뤄지지 않은 채 지연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대책위은 “미호강교 공사의 현장소장과 감리단장은 처벌받았고 관계 공무원에 대한 재판이 시작됐지만 단 한 명도 내가 잘못했다고 책임지지 않는 사이에 오송지하차도참사의 피해자와 유가족은 지금도 실체적 진실에 다가가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는 또 다른 재난을 향해 침묵 속에서 걸어가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오송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희생자에 대한 추모이며, 더 이상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만드는 재발방지의 첫걸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연희 의원은 이날 “오송지하채도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촉구 기자회견을 오송참사 유가족, 생존자, 시민대책위와 함께 했다”며 “명확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실효적인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국회가 더 이상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