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대표 먹거리는 '붕어빵'

  • 등록 2014.12.19 09:53:26
크게보기

20대이상 성인남녀가 생각하는 겨울철 대표 먹거리로 붕어빵이 꼽혔다. 특히 여성은 붕어빵을 남성은 군고구마와 군밤을 겨울철 대표 먹거리로 뽑아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드러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성인남녀 865명을 대상으로 <겨울철 대표 먹거리>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중 6(57.7%)붕어빵1위로 꼽았다. 특히 여성의 61.1%는 붕어빵을, 남성의 47.8%는 군고구마와 군밤을 1위로 꼽았다.

여성은 붕어빵 다음으로 군고구마&군밤(49.1%), 호떡(34.7%), 찐빵(34.1%), 오뎅&떡볶이(29.3%)을 꼽았고, 남성은 군고구마&군밤 다음으로 붕어빵(47.5%), 찐빵(39.7%), 오뎅&떡볶이(29.2%), 호떡(23.3%) 순으로 답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순위의 차이가 있었지만 1위부터 5위까지 군고구마&군밤, 붕어빵, 호떡, 찐빵, 오뎅&떡볶이로 모두 같은 음식이 엎치락뒤치락 했다.

왜 그 음식을 선택했냐는 물음에는 공통적으로 겨울에 먹어야 더 맛있는 것 같다거나 따뜻해서’, ‘값싸고 먹기 편해서라는 답변이 많았다.

 

선호하는 겨울 음식을 유형별로 나눠본 결과(*복수응답)는 남녀 모두 떡볶이, 오뎅, 붕어빵 같은 스트리트형 음식(53.3%)1위로 선택했다. 2위는 군고구마와 군밤 같은 화로형(44.4%), 3위는 우동이나 국밥, 찌개 같은 뚝배기형(34.4%), 4위는 커피나 핫초코 같은 티타임형(33.1%), 5위는 찐빵이나 호두과자, 만두 같은 한입간식형(22.5%)이 차지했다.

반면 싫어하는 겨울 음식(*복수응답)없다는 답변이 45.0%로 가장 높았다.

 

없다는 답변 다음으로 싫어하는 겨울 음식은 냉면(28.1%)이 뽑혔다. 본래 겨울 음식이었던 냉면은 그 시원함 덕분에 이제는 여름 음식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싫어하는 겨울음식으로 냉면을 택한 사람들은 이냉치냉을 이해할 수 없다거나 먹으면 더 추워질 것 같다고 선택 이유를 밝혔다. 냉면에 이어 싫어하는 겨울 음식 3위는 팥죽(25.0%)이 차지했다. 싫어하는 음식으로 팥죽을 택한 사람들은 대부분 팥을 싫어해서라고 답했다.

사람들이 겨울 음식이 가장 생각나는 시간은 언제일까? 남녀 모두 퇴근시간(38.4%)을 겨울 음식이 가장 생각나는 시간으로 꼽았다. 그 다음은 저녁시간(20.5%), 밤이나 새벽(18.5%), 일과시간(6.5%) 순으로 집계되었다.

실제로 겨울 음식을 먹는 시간을 조사한 결과, 겨울 음식이 가장 많이 생각나는 시간은 저녁시간(39.3%)인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31.8%)은 두 번째였고, 주말이나 쉴 때(10.9%), 밤이나 새벽(9.9%)이 그 뒤를 이었다. 재미있는 것은 밤이나 새벽에 생각난다는 응답의 비율보다 실제로 먹는다는 답변의 비율이 반 정도 낮았다는 것이다. , 다른 시간들과 달리 밤과 새벽은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에 비해 실제로 먹는 일은 적은 것이다.

이어서 겨울 음식을 먹는 장소에 대해 물었다. 사람들이 겨울 음식을 가장 많이 먹는 장소는 (47.2%)이었으며 그 다음은 길거리(38.9%)로 나타났다. 겨울 음식을 먹는 장소는 이렇게 집과 길거리가 90%가까이를 차지했다. 식당(9.5%)이나 회사(2.5%)에서 주로 먹는다는 답변은 아주 낮게 나타났다.

만약 겨울 음식으로 장사를 한다면 어떤 것을 하겠냐는 질문에는 붕어빵, 계란빵 같은 빵류 장사(25.3%), 떡볶이, 오뎅 같은 분식류 장사(24.7%)가 나란히 순위에 올랐으며 그 다음에는 우동이나 각종 탕 같은 국물류 장사(17.8%)가 올랐다. 반면 겨울철 대표 먹거리 조사에서 상위권이었던 군고구마나 군밤 같은 구운 음식 장사(12.6%)는 낮은 순위에 그쳤다.

김경한 기자 santa-07@nate.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