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방문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3일 충칭시 우두호텔에서 후헝화 충칭시장 등 지도부를 만나 우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체결로 베이징과 상하이, 텐진, 충칭 등 중국이 직접 관할하는 4개 직할시 가운데 텐진에 이어 두 번째로 우호협력 관계를 맺게 됐다.
경기도는 충칭과 ▲경제통상·과학기술·교육·문화·관광·도시관리·정보통신·환경보호·보건의료·노인복지·중소기업 지원 등 분야에서 교류 협력을 추진하고 ▲대표단 상호방문, 서한교류 등 대화와 소통을 상시 추진하며 ▲상대 도시가 개최하는 국제행사 등에 적극 참가하는데 합의했다.
김 지사는 “충칭처럼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이자 GRDP도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며 “교통도 수도 서울을 감싸면서 바다를 끼고 있는 요충지라 중국의 허브인 충칭과는 공통점이 많다”고 말했다.
또 “산업측면에선 더욱 더 유사한 점이 많다. 경기도는 전통제조업을 포함해 AI를 비롯해 모든 첨단 산업이 모여있는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의 심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칭시와는 산업과 발전내용이 흡사할 뿐 아니라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점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런 충칭시와 우호협약을 맺게 돼 기쁘다”며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후 시장은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공감한다”며 “양지역 발전을 위해 저희도 함께 손잡고자 한다.실무팀을 구성해 실속있게 하자”고 화답했다.

충칭은 GRDP(지역총생산) 4,477억달러(약 623조, 경기도 594조원)로 중국 도시 중 4위에 해당하고, 성장률은 5.7%에 이른다.
자동차, 전자, IT, 스마트제조 산업 등이 발달해 SK하이닉스, 포스코, 한국타이어 등 많은 한국기업이 진출해 있고 최근에는 신에너지차, 로봇, 바이오 같은 신산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우호협력 체결과 함께 경기도는 2건의 분야별 업무협약(MOU)도 추가로 체결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원장 김현곤)과 충칭시 상무위원회는 한중경제우호협력센터를 설립해 기업 및 주민·청년·공공기관 등의 협력 창구로 운영하기로 했다.
또 경과원과 자동차 산업의 주요 진지로 불리는 충칭시 량장신구(兩江新區)관리위원회는 AI·바이오·청년인재 취업 등 분야에서 교류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
량장신구는 중국 국가급 신구 3곳 중 하나로 대외개방의 핵심거점 역할을 하는 곳으로 자동차 산업 외에 IT·바이오의료 산업도 발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