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뼈괴사증에 효과적인 치료법 '프로토콜'... 국제학회 발표

  • 등록 2018.03.22 09:52:59
크게보기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선종 교수 연구팀
-최근 세계적 의학저널 ‘미국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JAOMS) 2017' 게재


임플란트치료 후 발생되는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 Medication related Ostenecrosis of Jaw)의 효과적인 치료 프로토콜이 국제학회에 발표돼 큰 관심을 받았다.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선종 교수 연구팀은 최근 미국 LA에서 열린 세계임플란트학회(AO; Academy of Osseointegration) 포스터 세션에서 200개 이상의 포스터 중 10개 연구팀에게만 주어지는 포스터 구연 발표에 선정돼 이화난치성악골괴사질환연구센터의 연구 결과를 구연 발표했다.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은 골다공증이나 암환자에게 처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등 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가 치아 발치, 임플란트 등의 치료를 받은 후 골 노출이 생겨 2개월이 지나도 치유가 안 되고 턱뼈가 괴사되는 난치성 질환이다.

 

 김 교수 연구팀은 병원을 방문한 약물 관련 악골괴사증 1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특히 상악동과 연관되어 있는 구치부의 골괴사증의 치유를 위한 상악동염, 구강상악동 누공을 해결하면서, 악골괴사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이비인후과적 평가 및 협진, 연조직과 경조직의 효과적인 재생, 구강상악동누공의 폐쇄가 완성되어야 환자가 정상적 식이와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발생 기전과 약물과의 상호 관계가 불명확했던 이 질환의 치료에 대해 효과적인 결과를 얻는 치료법을 적용한 것이다.

 

김선종 교수(사진)는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주로 처방받는 고령의 환자들과 암환자들은 상악동염이 발생해 괴사가 진행될 경우 구강과 상악동이 개통되는 구강상악동누공으로 큰 고통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이번에 발표한 치료법을 활용하면 향후 약물 관련 턱뼈괴사증의 치료에도 기여해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은 물론 난치 질환 분야에서 한국 치의학 연구가 세계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선종 교수의 연구 논문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턱뼈괴사증 환자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Does the Addit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to Platelet-Rich Fibrin Improve Healing After Treatment for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은 세계적 의학저널인 미국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JAOMS) 2017'에 게재되었다.

김미진 기자 seri2006@hanmail.net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2길 4.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