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영화 산업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SNS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영화 제작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제공하는 인센티브 때문에 미국 영화 산업이 매우 빠르게 죽어가고 있다”며 “이러한 공동 행위는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며, 선전 활동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무부 등 관련 기관에 해외 제작 영화에 대한 100% 관세 부과 절차를 즉각 시작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다시 미국에서 만들어진 영화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 역시 X(구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해결에 나섰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의 구체적인 적용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관세가 극장용 영화에만 적용될지, 스트리밍 콘텐츠까지 포함될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관세 부과 기준이 제작비인지 흥행 수익인지를 두고도 혼선이 있다. 주요 스튜디오들을 대표하는 영화협회(MPAA)도 즉각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할리우드는 이미 지난 수년간 세금 혜택 등을 제공하는 해외 국가들로 제작 중심지가 이동해 왔다. 로이터가 밝힌 시장조사기관 ProdPro에 따르면 2023년 미국 제작자들이 4,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한 프로젝트 중 절반 이상이 해외에서 제작됐다. 비영리 단체 FilmLA는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영화·TV 제작이 지난 10년 동안 약 40% 감소했다고 밝혔다.
호주와 뉴질랜드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즉각 반응하며 자국 영화산업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일부 마블 영화는 호주에서, <반지의 제왕> 시리즈는 뉴질랜드에서 촬영됐다.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조치가 오히려 미국 영화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할리우드 제작자들과 노동조합은 경쟁국 대비 불리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개빈 뉴섬 주지사에게 세금 인센티브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전 상무부 고위 관료이자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쉬 수석연구원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조치에 대한 해외의 보복은 미국 산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며 “얻는 것보다 잃는 게 훨씬 많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