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협의, 대선 이후 본격화…FTA·방위비 언급은 없어

  • 등록 2025.04.25 08:41:59
크게보기

한미 합의 도출 6·3 대선 이후 새 정부 통해 이뤄질 가능성 커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양국은 7월 초까지 관세 문제와 산업 협력 등을 포함한 '패키지 합의' 도출을 목표로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특히 한국의 대선 이후 새 정부 출범 이후 본격적인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번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인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철회를 포함한 포괄적 합의를 추진할 것이며, 관세·비관세 장벽, 통화 정책, 경제안보, 투자 분야에서 집중 논의가 오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과속하지 않고 체계적인 협의를 위해 양국이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이번 협의가 양국 간 신뢰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의 입장에서는 자동차 분야의 타격이 크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해당 분야에 대한 관세 철회를 적극 요청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은 한국산을 포함한 해외산 자동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 중이다.

 

양국은 조만간 산업통상자원부와 USTR 간의 실무급 협의를 열 예정이며, 그리어 대표가 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내달 한국을 방문할 때 추가 고위급 회의도 열릴 예정이다. 환율 문제는 기재부와 미 재무부 간 별도 채널을 통해 협의된다. 

 

최 부총리는 "이번 협의를 통해 협상의 뼈대가 마련됐으며, 향후 심도 있는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공동보도문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양국 간 분위기는 우호적이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논의에서는 방위비 분담금이나 FTA 개정, 농축산물 수입 확대 문제는 다뤄지지 않았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산업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긍정적인 시작을 했으며, FTA 개정이나 민감한 수입 문제는 협의 의제로 오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권은주 기자 kwon@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