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오는 2026년까지 기후테크 스타트업 100개사, 2030년까지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3개사를 육성하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4일 수원 경기융합타운에서 열린 ‘2025 경기도 기후테크 컨퍼런스’개막식에서 기후테크 클러스터 조성, 기후테크 펀드 조성, 경기도 기후테크센터 설치 등 기후테크 3대 비전을 통해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3개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클러스터를 조성해 R&D부터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기후테크 전주기에 이르는 인프라를 갖춘 기후테크 육성 전진기지를 만들기로 했다.
이어 경기도 기후테크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기후테크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규제개혁부터 투자유치, 실증사업까지 기후테크 얼라이언스 동맹으로 전방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후테크 펀드를 조성해 우수 기술을 가진 기업에 성장 자본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기후테크 육성의 컨트롤타워인 경기도 기후테크센터를 설치한다. 종합적인 구상과 전략적인 체계를 갖춰 기후테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는 한편 도민이 직접 기후테크 기술과 실증에 참여하는 기후 리빙랩과 시민 참여 프로젝트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동연 지사는 “기후테크 3대 비전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분명하다. 기후테크 기업이 마음껏 도전하고 성장하는 ‘기후테크 플레이그라운드’를 만드는 것”이라며 “경기도는 2026년까지 기후테크 스타트업 100개사, 2028년까지 스케일업 20개사, 2030년까지 기후테크만으로 유니콘 기업 3개사를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기후테크 혁신을 위해 경기도와 지자체, 정부, 대기업, 투자사 등 20개 기관과 함께하는 협력체계인 ‘경기도 기후테크 얼라이언스’도 출범했다.
기후테크 얼라이언스는 기후테크 지원 사업간 연계 강화와 기후테크 산업 육성을 저해하는 규제 개선, 기후테크 정책 제언 등의 역할 수행을 목표로 한다.
경기도, 경기중소벤처기업청, 공공·유관기관, 카카오모빌리티, KT 등 대기업과 함께 투자사 3곳, 기후테크 기업 5곳 등 총 20곳이 참여했다.
경기도는 기후테크 얼라이언스 협약을 바탕으로 투자 분과와 기후테크 클러스터 분과를 운영해 기후테크 산업 촉진 방안을 논의하고, 각 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후테크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연합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2025 경기도 기후테크 컨퍼런스’에서는 기후테크 산업과 기후경제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과 패널토론, 세미나, 탄소중립펀드 투자유치 피칭데이 등이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