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조지아주 이민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당초 예정보다 하루 늦은 11일 전세기를 통해 귀국한다. 귀국 과정에서 수갑은 채워지지 않으며, 향후 미국 재입국 때 불이익이 없다는 확약을 미국 정부로부터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현재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이 내일 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수갑을 채우는 일이 없도록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확약도 받았다”고 밝혔다.
애초 석방 시점은 10일 새벽이었다. 같은 날 오후 330명(외국인 14명 포함)을 태울 대한항공 전세기도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한 상태였다. 그러나 전날 밤 미 당국이 갑자기 석방을 보류하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구금 시설 측은 “위에서 중단 지시가 내려왔다”고만 답했다.
일각에서는 ‘수갑 논란’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외교부는 “출국 지연과는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 정부는 국민 정서를 고려해 이번만큼은 속박 도구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했고, 미국도 이를 받아들였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실제 지연의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근로자들의 자진 출국을 미루고 미국에 남아 숙련 인력으로 현지 근로자를 교육·훈련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조 장관은 이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약 20분간 면담에서 “우리 국민이 매우 놀라고 지친 상태이므로 먼저 귀국한 뒤 다시 돌아와서 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고, 루비오 장관도 이를 존중해 귀국 쪽으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장관은 아울러 한국 전문 인력의 미국 입국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비자 형태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고, 국무부와 외교부 간 워킹그룹을 구성해 신속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들이 계속 미국에 남아 일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곧 향후 재입국 불이익이 없다는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은 하루 가까이 늦어진 11일 정오께 귀국길에 오르게 됐으며, 미국 측 보장에 따라 향후 재입국에도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