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 '3.1절' 정신 계승 외치면서 '탄핵'에는 다른 목소리

  • 등록 2025.03.01 18:02:13
크게보기

 

제106주년 삼일절인 1일 정치권은 순국선열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자면서도 탄핵 정국의 해법에 대해서는 입장차를 드러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3.1운동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임시헌장 제1조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임을 천명했고, 지금의 헌법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불의한 침략에 맞서 자주독립을 선언한 선조들의 용기와 헌신이 민주주의가 흔들릴 때마다 되살아났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12월 무장한 계엄군에 맞서 응원봉으로 광장을 밝힌 시민들의 모습도 같았다“며 ”그것은 불의에 맞섬으로써 우리가 주권자임을 선언한 위대한 몸짓, 3.1운동 정신이 오늘의 모습으로 구현된 것이었다. 국민의 뜻이 이정표가 되고, 국민의 지혜를 등불로 삼아야 하며, 그것이 주권재민의 길이고, 3.1운동 정신의 계승"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한다"며 "국민의힘은 순국선열의 희생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민생 회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한국사 최대 규모의 시민운동이었던 3·1운동의 정신은 민주공화국으로 이어졌고,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은 오늘의 번영을 이룰 수 있었다"며 "3·1운동의 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며, 자유롭고 평화로운 대한민국,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도 논평에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헌법과 민주주의는 중대한 위기에 직면해 있는 것은 내란수괴가 되어버린 대통령 때문”이라며 “대통령의 직위에 있는 사람이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겠다고 국민 앞에 맹세했던 선서를 내팽개쳤다. 3·1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받들어 민주당이 국민과 함께 헌법을 수호하고 내란 종식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여야 대권주자로 꼽히는 정치인들도 일제히 메시지를 내놨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페이스북 '총칼마저 이겨낸 자주독립의 함성이 새로운 나라의 길잡이가 되었듯'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국가적 환란 때마다 위기를 이겨내도 새 길을 열어낸 것은 언제나 행동하는 주권자였다“며 ”103년 전 뜨거운 역사가 증명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육사 시인의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라는 시를 인용해 "침략으로 주권마저 상실했던, '북(北)쪽 툰트라' 같은 그 땅에 자주독립과 자유, 평등의 씨앗을 뿌렸던 날. 총칼을 이겨낸 평화의 연대는 '국민이 주인인 민주공화국'으로 피어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가리킨 곳을 향해 두려움 없이 정진하는 일, 그렇게 좌절을 딛고 다시 위대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모진 수난 앞에서도 열망을 잃지 않았던 선열들의 헌신에 응답하는 길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도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순국선열들의 희생이 없었더라면 독립된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도 없었을 것”이라며 “일제강점기를 끝내고 독립된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낸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처럼, 구시대의 문을 닫고 개헌으로 시대를 바꾸는 정치인들의 희생정신이 절실하다”며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헌법의 모태인 3.1절에 대통령은 헌법을 위배한 혐의로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심판을 받는 중"이라며 "광화문, 여의도, 안국동 등 각지에서 탄핵 찬반을 두고 우리는 극심한 분열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 대통령도, 헌법재판관들도, 탄핵 찬반으로 분열된 국민도, 오로지 민주공화국이라는 헌법의 대의를 존중해야 이 나라가 바로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대통령 파면을 넘어 민주 정부 수립,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개헌을 통해 국가 대개조로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주권 상실의 원인은 분열과 갈등이었음을 잊지 말자. 증오와 분노를 버리고 공존의 길을 개척하자"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sy1004@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