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부터 시외버스와 요금이 평균 10.7% 인상된다. 또 광역급행버스(M-버스)도 평균 12.2% 오른다.
국토교통부는 15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시외버스와 광역급행버스의 운임 요율 상한 조정안을 확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업계의 지속적인 운임 인상 건의에도 불구하고, 이용자 부담을 고려해 시외버스는 6년간, 광역급행버스는 4년간 운임을 동결해 왔다"며 "하지만 물가, 유류비·인건비 등 운송 원가가 상승함에 따라 버스 업계의 경영상 어려움이 누적돼 운임 요율 상한을 인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들의 부담 완화를 위해 광역알뜰카드 확대,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발행 및 노선 조정을 통한 운행 거리 단축 등의 보완책도 내놨다.
광역알뜰카드는 세종·울산·전주시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올해에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대상지를 확대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역알뜰카드는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할 경우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최대 20%)를 지급해 최대 30%의 교통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발행은 금년 상반기 중으로 상품을 마련할 계획이며 현실화 될 경우 약 20~30% 할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시외버스 정액권을 구매할 경우 다양한 목적지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이동할 수 있게 돼 청년 등 시간적 여유가 있는 국내 여행객을 대상으로 인기를 얻게 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정기권은 고정 노선을 왕복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할인권이어서 단거리 노선을 통근·통학하는 직장인 및 대학생 등에게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노선도 변경된다. 서울~부산, 경기~부산 시외버스 7개 노선의 경로를 상주-영천 기존 중앙고속도로에서 고속도로로 조정해 운행 거리 4km, 시간은 5~10분 단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운임 조정은 장기간 동결돼 있던 운임을 현실화하는 것으로 버스 업계의 경영 상황 및 근로자 처우개선 등 전반적 근로여건, 이용자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정"이라며 "운임 조정과 함께 광역알뜰카드 확대 시행, 시외버스 정기·정액권 발행, 노선 조정 등을 병행해 이용객의 부담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