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 원 예금해도 커피 한 잔 값도 안 돼...일본의 해외 주식 투자 러쉬

  • 등록 2024.07.02 17:10:59
크게보기

과거 가계 저축이 기업으로 흘러가 경제 성장을 지탱해왔고 ‘거품 경제’ 붕괴 후에도 마찬가지였던 일본의 1118조 엔에 달하는 가계의 현금과 예금(전체 금융의 50.9%에 해당)이 일부이긴 하지만 해외 투자로 방향 선회를 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서 시중은행에 100만 엔(우리나라 돈 천만 원)을 맡겼을 때 이자가 연 250엔 정도에 불과하고 여기에서 세금을 빼면 200엔이 남아 커피 한 잔도 살 수 없는 상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정부가 연간 투자 한도와 비과세 보유 한도를 대폭 늘리고, 비과세 보유기간을 무기한으로 바꾼 새로운 소액투자 비과세제도(NISA)가 실시되면서 투자 바람은 거세지고 있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투자신탁에 맡긴 개인의 해외 자산 투자는 올해 1~4월 4조 엔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한 해 동안의 투자액을 웃도는 규모로, 같은 기간 기준으로 치면 2005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투자신탁이란 투자(投資)를 믿고(信) 맡긴다(託)는 말에서 따온 것이다. 즉 내가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내 자금을 자산운용전문가에게 맡겨 나를 대신하여 투자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오늘 올해 ‘신(新) NISA’가 도입된 뒤 ‘미쓰비시UFJ자산운용’의 인기 펀드 ‘eMAXIS Slim All Country’-줄여서 ‘오르칸’은 투자신탁 매수 순위에서 5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오르칸은 전 세계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신탁 상품이다.

 

‘오르칸’은 특히 신탁보수(연 0.05% 안팎)가 저렴해 인기를 끌고 있다. 연 초부터 지난달 21일까지 순 유입액은 1조3000억 엔(약 11조2000억 원)에 달했다. 잔액은 3조8000억 엔 규모로 성장했다.

 

‘오르칸’을 포함한 1~5월 해외 주식형 투자신탁 순 유입액은 5조4284억 엔으로, 전년 동기의 약 다섯 배에 이른다. 특히 미국 반도체 대기업 N비디아 등 해외 성장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모습이다.

 

일본 증권사 10곳의 신 NISA 계좌 개설 건수는 1~5월 기준 224만 건에 달했다. 전년 동기(기존 NISA 기준) 대비 2.6배 증가했다. NISA를 통한 1~5월 매수 금액은 6조6141억 엔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2배 늘었다.

 

니혼게이자이는 “해외 주식형 투신을 중심으로 개인 자금의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며 “개인 자금이 각성했다”고 평가했다.

 

일본 가계의 현금과 예금을 투자로 자극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다. 일본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신선식품 제외) 상승률이 2%대 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실질임금은 지난 4월까지 역대 최장 기간인 2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신 NISA 세미나에 참석한 한 투자자는 “은행 예금은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취직 후 적립식으로 미국 개별 주식과 해외 주식형 투자신탁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 NISA는 연간 투자 한도를 종전 120만 엔에서 240만 엔으로 높였다. 비과세 보유 한도는 600만 엔에서 1200만 엔으로 상향했다. 최대 5년이었던 비과세 보유기간은 무기한으로 개선했다.

 

다만, 일본 가계의 외화자산으로의 이동은 그렇지 않아도 엔화 가치가 떨어지는 엔화 약세를 부채질하기도 한다. 해외 주식형 투자신탁권을 사려면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기 때문이다.

 

따라서 1~3월 무역수지 적자가 1조 8000억 엔인 것과 비교하면 투자신탁을 경유한 엔저 압력은 이미 무역적자를 넘어섰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미쓰비시UFJ 모건스탠리증권의 우에노 다이사쿠 수석 외환 전략가는 “개인들의 전 세계 주식 투자는 하나하나의 비중은 작아도 전부 합치면 매우 큰 규모”라며 “거래량이 적은 통화에는 양방향으로 환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엔저가 가속화하면 수입 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해외에 거주·근무하거나 해외여행을 하지 않아도 엔저를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영무 본부장 기자 sy1004@m-economynews.com
Copyright @2012 M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주)방송문화미디어텍|사업자등록번호 107-87-61615 | 등록번호 서울 아02902 | 등록/발행일 2012.06.20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전화 02-6672-0310 | 팩스 02-6499-0311 M이코노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